대전의 미래를 조망하는 첫 걸음 나는 1988년에 대전으로 이사를 왔다. 이제 1900년대를 키보드로 치는것조차 낮설게 느껴질정도로 2000년대는 벌써 한참을 지나온듯 하다. 대전은 1950년대 이후에 커지기 시작한 도시이다. 파괴의 축복이라는 한국전쟁 이후에 1970년대를 거쳐 한국은 소득이 대폭늘어나면서 도시의 .. 제품체험단 및 삶이야기/스토리텔링 창업 2011.11.30
경제를 아는것은 특권이다. 바야흐로 한국은 재테크의 열풍을 지나 살아 남기위해 혹은 기나긴 노년을 대비하기 위해 온갖 방법들이 난무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좋은 직장, 좋은 직업을 가지기 위해 줄세우기만을 요구하는 기성세대의 권고는 이제 2010년 이후에는 더이상 유효하지가 않다. 이에 올해의 이슈를 정리해보고 경제.. 제품체험단 및 삶이야기/마이크로 트랜드 2010.11.18
[책리뷰]'하우스푸어' 험난한 한국의 미래 10년경제 하우스 푸어라는 단어가 이제 익숙해질만큼 일반적인 의미가 되어버렸다. 언론이 앞서서 홍보해주고 건설사는 뒷돈을 대주며 상류층은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는 최대 부동산 축제는 5년만에 그 화려한 막을 내리고 그 뒤에 남은것은 불나방처럼 빛을 쫒아 빚을 만들어온 서민들만 남았다는것이 하우.. 제품체험단 및 삶이야기/책에 대한 생각 2010.10.29
빚권하는 사회! 경제개념 부족한 사람들 바야흐로 2007년까지 세계경제는 유래없는 호황을 누려왔다. 한국도 IMF때 잠깐 휘청한적이 있지만 수출위주의 경제인 한국은 자원이 많은 다른 국가처럼 모라토리엄도 선언하지 못하고 수출위주의 정책과 내수는 신용카드 발급의 남발로 탈출을 했다. 한국이 경제성장을 하는 와중에 많은 문제점이 .. 제품체험단 및 삶이야기/경제이야기 2010.09.27
주민은 살자격을 잃어버린땅 '용산' 삼성물산이 포기를 해버릴정도로 수익성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용산역세권개발사업은 개인탐욕에 의거한 자본주의의 절정을 보여준 대규모 사업이었다. 신기루같은 전망만을 가지고 야심차게 서울시, 코레일, 삼성물산과 많은 이권을 가진 대기업들이 참여한 작품 용산역세권개발사업은 드림허.. 제품체험단 및 삶이야기/경제이야기 2010.09.03
북한의 화폐개혁과 굶주리는 세계인 오늘날의 세계인구는 65억명 정도로 추산이 되며 가능한 농업생산력은 120억명을 먹여 살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현재 많은 나라의 세계인들이 기아상태에 빠져 있다. 먼나라도 아닌 가까운 나라 북한주민의 삶은 어떨까? 북한 정부는 지난 11월 30일부터 12월 6일까지 옛 화폐를 새 화폐와 교환하며, .. 제품체험단 및 삶이야기/체험단 & 삶 2009.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