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체험단 및 삶이야기/책에 대한 생각

고구려에 대한 다른 관점, 목등일기

어린왕자같은 식객 2015. 12. 3. 08:00
728x90
반응형

목등일기라는 소설은 고구려의 야사를 자료를 기반으로 한소설이다. 고구려 좌보 목등이 쓴 일기로 1,800여년전 고구려 산상왕 시대의 인물인 목등의 눈을 통해 이야기를 그려나간다. 당시 인물인 주태후, 어을, 산상왕이 엮인 복수극과 사랑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현대에도 50여년만 지나면 자료가 부족해 어떤 것이 진실인지 모를만큼 역사는 희석되기 시작한다. 그런데 1,800여년전의 이야기라고 하면 어떻게 될까. 모르긴 몰라도 역사속 인물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픽션으로 채워질 확률이 높다. 지금까지 정사로 알려진 김부식의 삼국사기만 하더라도 삼국이 신라에 의해 통일되고 나서 700년이 지난 다음에야 씌여졌으니 그 속에 시대를 제대로 반영이나 할 수 있었을까. 게다가 오랜시간동안 신라중심의 역사관이 오래도록 자리했으니 고구려와 백제의 기록이 제대로 수록되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저자가 소재를 찾아보던 중에 예전에 보았던 기억의 흔적을 찾던 중에 우연하게 발견한 이야기 목등일기는 일기 형식을 빌어 쓰여진다. 의문의 글자가 적힌 비단 세폭이 발견되고 그들은 과거 조선(고조선)과 관계된 사람들이다. 주태후가 산상왕을 끌어내고 왕좌에 오르고 싶어한다는 것을 알게된 목등은 왕을 위해 주태후를 처단하려고 한다.

 

역사는 과거의 이야기가 아닌 현재의 이야기이다. 사람과 사람이 사는 것, 정치, 사랑, 사람과의 인과관계는 모두 현실과 다를바가 없기 때문이다. 일기 형식을 빌었지만 내용은 전체적으로 짜임새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런 형식의 소설에서 보통 씌여지는 문장체 그대로 차용했기 때문에 이런 역사소설을 처음 접하는 사람은 집중이 잘 안될 수도 있다.

 

 

1794년에 씌여진 목동의 일기에서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것을 단순하게 말하면 남자 VS 여자다. 이 나라가 태후의 나라가 될 것인가. 대왕의 나라가 될 것인가라는 흥미가 땡기는 문구가 눈에 띄인다. 

 

"돌이켜보니 세상의 일은 사람의 일이요, 사람의 일은 사내와 계집의 일이더구나." 

 

 

어을은 한밤중 말을 달려서 마산궁으로 들었다.

소슬은 어을의 옷을 벗기고 온몸을 샅샅히 살폈다.

어을은 소슬과 함께 주태후가 머무는 침전으로 들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