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에서 한옥체험을 할 수 있는 가옥으로 부여민칠식 가옥이 있다. 조선의 후기의 주택으로 민칠식 가옥은 19세기 후반에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솟을대문은 -자 모양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정침의 앞쪽에는 사랑채가 자리하고 있다.
한옥생활체험관으로 운영되고 있는 민칠식 가옥은 조선시대에 4명의 왕비를 배출한 여흥 민씨 집안의 집이라고 한다. 세가 상당했던 양반집 가문의 전형적인 가옥이다.
여름에도 시원하게 지낼 수 있는 한옥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민칠식 가옥
여흥민씨가 오래도록 강력한 세를 보이며 살아왔지만 쇄락하고 지금은 부여군의 소유로 고택체험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곳 가옥에서 묵을수도 있는데 대부분의 마루방은 3면을 다 열수 있어서 탁 트인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주변에 나무가 병풍처럼 둘러싸여 있어서 초록의 자연색을 그대로 받아 들일 수 있다.
주변에는 오래된 노송과 은행나무, 느티나무등이 둘러싸고 있다.
민칠식 가옥의 형태는 영남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면이라고 하지만 충청지방에서는 특이한 평면이라고 알려져 있다.
정침과 행랑채로 되어 있고 들어가보면 횡으로 긴 행랑마당 중간에 이렇게 단이 하나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앞에는 아이들일 놀수 있는 놀이터가 있다.
오래된 나무옆에 가옥하나가 멋스럽게 보인다. 저 가옥은 최근에 지어진 느낌이다.
주차공간도 넉넉한 민칠식 가옥은 앞에는 이렇게 넓은 뜰이 펼쳐져 있고 가옥이 자리하고 있어서 멋스러운 느낌이 든다.
현실에서 고택은 고루하다고 생각될수도 있지만 과거와 현재가 만나는 시간여행을 할 수 있는 곳이다. 모든것이 깨끗하고 깔끔하고 콘크리트 투성의 도시의 회색만 접하다가 나무와 황토가 어우러져 있는 집을 만나는 것도 괜찮아 보인다.
다른 가옥과 달리 관리가 잘되고 사람들도 숙박을 해서 그런지 가장 깔끔한 고택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부여의 연잎밥도 좋고 막국수를 먹는 즐거움도 부여에서는 함께 느껴볼 수 있다. DSLR의 동영상 기능을 활용해 역할극을 통한 사극을 찍어보는 느끼함도 때론 재미있을 듯 하다. 요즘 고택을 돌아다니면서 생각하는 것은 고택과 일본식 주택의 장점을 합쳐보면 어떨까라는 기대감이다.
'여행을 떠나요(1000) > 한국여행(충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산에도 문화의 거리가 있었네요. (0) | 2014.10.17 |
---|---|
조선교육의 중심에 있는 향교를 찾아 (0) | 2014.10.16 |
청양의 용두리 장승제의 기원 (0) | 2014.10.07 |
백제 부흥운동의 정신 은산별신제 (0) | 2014.09.30 |
공주가 시작되는 곰나루 전설 (0) | 2014.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