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보다(1000)/영화평(액션)

명량, 도전하고 승리하라 이순신처럼

어린왕자같은 식객 2014. 7. 30. 08:00
728x90
반응형

배우 최민식의 말처럼 그의 연기가 아무리 잘해봤자 본전치기뿐이 안된다. 명량이라는 이야기가 너무나 많은 사람에게 알려져 있고 상상했기 때문이다. 수많은 임진왜란을 그린 영화, 드라마에서 그의 위대한 승리를 그려왔다. 정확한 전장의 상황을 기억하지 못할지라도 중과부적의 왜군을 상대로 어떠한 승리를 거두었는지는 알고 있다.

 

김명민이 연기한 이순신이라는 캐릭터가 괜찮았지만 드라마에서 보여준 해전의 CG는 조악함 그자체였다. 영화 명량에서 보여준 해전 CG는 상당한 수준으로 보는내내 긴장감이 이어졌다.

 

1597년 임진왜란 6년,
오랜 전쟁으로 인해 혼란이 극에 달한 조선.
무서운 속도로 한양으로 북상하는 왜군에 의해 국가존망의 위기에 처하자
누명을 쓰고 파면 당했던 이순신 장군(최민식)이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된다.

 

명량이 시작하자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이 일어난 상황을 그리며 당시 왕인 선조의 무능함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순신대신에 배치된 원균은 칠천량 해전에서 왜군에게 대파당한다. 조선의 판옥선이 우수했음에도 불구하고 원균이 대파당한 것을 보면 역시 지휘관의 능력이 전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함을 알 수 있다.  

 

 

경상우수사 배설이 도망치면서 가져온 12척의 배가 이순신의 씨드머니가 된다. 백의종군하던 이순신에게 아들 이회는 도망가자고 제안한다. 이순신은 일언지하에 거절하고 충은 임금이 아닌 백성을 향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백성이 하늘이며 하늘은 곧 백성이라는 말이 진실이다.

 

휘하의 장수들조차 육군에 합류하자고 하는 마당에 이순신은 도망자를 베어버리고 배수의 진을 친다. 신립이 탄금대에서 배수의 진을 친 것과 이순신이 벽파진에서 배수의 친것과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이순신은 적을 알고 나를 알았던 장군이고 신립은 나는 알았지만 적은 몰랐던 장군이다.

 

 

해적 출신의 구루지마는 해류를 잘 아는 왜장이다. 서해를 통해 선조를 잡겠다고 그들의 사기는 상승세를 타고 있었으나 한산대첩에서 대파당한 와키자카는 이순신을 두려워한다. 와키자카는 이순신을 피해 돌아가자고 제안하고 구루지마는 가장 빠른 지름길을 선택한다. 고뇌에찬 이순신 역시 두려워하고 슬퍼하는 인간이라는 것을 영화에서는 잘 보여주고 있다. 이순신은 신이 아니였기에 위대해질 수 있었다.

 

 

난중일기의 기록을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 명량은 시종일관 장엄하고 무거운 느낌이다. 조그마한 유머코드도 넣을만 하건만 이 영화는 묵직함으로 승부를 건다. 12:330 이라는 무의미한 숫자를 가지고 울돌목 길목에서 70여분간의 전투액션은 명량이라는 영화의 볼거리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일본배와 조선배의 결정적인 차이는 바로 포를 제대로 받쳐줄 수 있느냐의 차이다. 조선배에서 쏘아져 나오는 천자총통과 근접전을 할때 조란탄은 유효한 살살능력을 발휘한다.

 

 

영화는 실제 명량대첩과는 차이가 있다. 누군가 나에게 물어본적이 있다. 이순신이 저렇게 큰 칼을 들고 어떻게 싸웠냐고 물어볼때 만약 장군이 칼을 들어서 백병전을 할때까지 가면 그 전투는 진것이라고...그러니 지휘용이지 실전용이라고 보기는 좀 어렵다.

 

왜군은 그들이 전투를 해온 특성상 육전에 능하다. 육전에 능하다는 이야기는 대면으로 붙어야 유리하다는 점이다. 조선배에 근접해서 넘어오지 않는다면 왜군에서도 승산이 없는 것이다. 이순신은 조선의 바다를 잘 알고 있었고 판옥선이 왜선보다 훨씬 강하고 포를 쏘기에 수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너무 묵직한 분위기가 조금은 아쉬웠지만 전체적으로 강약을 조절하는 것은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왜군은 이순신이라는 존재에 대해 두려움에 떨었고 조선군과 백성은 왜군의 잔학성을 두려워했다. 선조는 도망가고 지배계층도 도망갔지만 나라를 넘겨주지 않았기에 조선의 백성들은 왜국에서 조선을 구해냈다. 300여년이 지난 후에 조선의 지배계층은 나라를 일본에 넘긴다. 백성이 활약할 틈도 없이 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