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은 정말 오래간만에 접해본다.
백석 시집인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라는 들어본 적이 있는 것 같은 시의 제목과 같은 이 책은 잊어버렸던 감성을 전달하는 시집이다. 백석시인의 본명은 백기행으로 평안북도 정주에서 1912년에 출생하고 1995년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시집을 읽어보니 참 다양한 인생을 담고 있다. 여행지를 이야기 하고 인생을 이야기하고 역사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시에 다양함을 담았다. 백석이라는 시인에 대해 좀더 잘 알게된다.
주막
호박잎에 싸오는 붕어곰은 언제나 맛있었다
부엌에는 빨갛게 질들은 팔모알상이 그 상 위엔 새파란 싸리를 그린 눈알만한 잔이 보였다
아들 아이는 범이라고 장고기를 잘 잡는 앞니가 뻐드러진 나와 동갑이었다
울파주 밖에는 장꾼들을 따라와서 엄지의 젖을 빠는 망아지도 있었다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밤은 푹푹 눈이 나린다
나타샤를 사랑은 하고
눈은 푹푹 날리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어 소주를 마신다
소주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 타고
산골로 가자 출출히 우는 깊은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자
눈은 푹푹 나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 올 리 없다
언제 벌써 내 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눈이 푹푹 나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을 것이다.
특이한 시들이 많이 있다. 특이한 분야를 개척하는데 성공하였다더니 실제로 그러하다. 방언을 즐겨 쓰면서도 모더니즘이 엿보인다.
실려 있는 백석이라는 인물의 사진을 보니 최근에 KBS에서 방송중인 감격시대의 일본 관리를 연기하는 사람과 무척이나 닮아 있다. 백석이라는 사람은 통영을 아주 사랑했나 보다. 통영과 관련된 시가 여러편 보인다.
통영
옛날엔 통제사가 있었다는 낡은 항구의 처녀들에겐 옛날이 가지 않은 천희라는 이름이 많다
미역오리같이 말라서 굴껍질처럼 말없이 사랑하다 죽는다는 이 천희의 하나를 나는 어느 오랜 객주집의 ㅐㅇ선가시가 있는 마루방에서 만났다
저문 유월의 바닷가에선 조개도 울을 저녁 소라방등이 붉으레한 마당에 김냄새 나는 비가 내렸다.
우리 문학의 베아트리체라는 백석의 시들을 읽어보면서 그의 흔적들을 엿볼 수 있다.
백석이 세상에 처음 내놓은 시는 정주성으로 그가 앞으로 나가가야 할 방향의 시적 내용들이 담겨져 있다. 백석 그가 살던 세상은 근대화에 의해 조선이 무너지고 있었다. 그가 보여주는 시의 세계는 한 곳에 정주하지 못했던 그의 고민의 흔적이 역력하다. 부모의 강권에 의해 두 차례 결혼했지만 신부와함께 살지 않았던 백석
해 방후 백석이 북에 남은 탓에 그의 시는 문학사에 등장하지 못했고 한국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88년 해금 조치 이후였다. 그래서 우리는 백석이 죽은 시기를 그냥 추정할 뿐이다. 오늘날 백석의 시는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려 있어서 사람들에게 알려질만 하나 아직까지는 많은 사람들이 알지는 못한다.
머리 스타일 자체도 좀 특이해보인다. 영어 강의를 하는 그의 모습에서 신 문물을 먼저 접한 그의 스타일을 엿볼 수 있다. 최근에는 백석이 예전에 쓴 시 3편과 산문 4편, 번역소설 2편이 새로 발굴되었다고 한다. 백석에 대해 좀더 찾아보니 그가 통영에 많은 관심을 가진 이유가 있었다. 난이라는 여자에 대한 그리움이 통영에 대한 시를 세편이나 남기게 한다.
그가 쓴 시를 읽어보면 낭만적인 느낌을 담아놓은 것이 아니라 무척이나 서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를 읽는데 어렵지 않으면서 현실적이었고 진실되게 적었다.
모두가 감성적이고 낭만적인 시를 읽어보려한 때에 정치성도 배격하고 자신의 느낌을 솔직하게 전달했다.
책의 뒷편에는 그가 만났던 사람들과 주변사람들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그가 어떤 생활을 하고 어떤 행적을 보였는지 길지 않게 풀어내고 있다.
"백석의 시에서 당신을 처음 만났을 때도 그랬습니다. 나는 백석이라는 사내가 무척 부러웠습니다. 다도 백석처럼 가난 했으나 아름다운 타나샤도 흰 당나귀도 없었으니까요. 그래도 백석이 되어보려고 혼자 쓸쓸히 앉아 눈 내리는 북방을 생각하며 밤새워 소주를 퍼마시기도 했지요. 그렇게 몇날 며칠 술을 마셔대도 나타샤 당신은 오지 않더군요. "
오래간만에 접한 백석의 시집에서 그 행보를 다시금 되새겨 본다.
'제품체험단 및 삶이야기 > 책에 대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계, 남자를 말하다, 내가 사랑한 모든 스타일 (0) | 2014.04.03 |
---|---|
셀러브리티의 시대, 명성을 만들고 소비하게 만드는 이들 (0) | 2014.04.02 |
눈치 보지 않을 권리, 나를 다시 돌아보게 만드는 책 (0) | 2014.03.25 |
디스턴스, 인생에 성공에는 거리가 있다. (0) | 2014.03.19 |
진심전력, 진심을 다해 세상을 살아가는 법을 배우다 (0) | 2014.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