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보다(1000)/영화평(SF)

'인타임' 인간에게 최고의 가치는 시간이다

어린왕자같은 식객 2011. 10. 31. 06:30
728x90
반응형

사람이 가질수 있는 모든 물질적인것이나 정신적인것중에 가장 큰가치는 무엇일까? 아마도 시간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지금까지 계속 해왔다. 자본주의를 기반으로 한 민주주의 사회에서 모든것이 공평하지 않다. 공평한척 할뿐이다. 교육의 기회나 직업선택 하물며 친구와 배우자의 선택까지 모든것이 자본과 물질에 영향을 받고 살아간다. 그렇지만 자신이 가진 시간은 유일하게 공평하다. 물론 그 시간으로 돈을 벌기 위한 기준을 삼는다면 그것도 공평하지 않을수 있다.

 

인타임은 정말 많은것을 생각하게 해주는 영화중 하나이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기본욕망인 오래살고 싶다는 욕구와 로빈 후드같은 의적의 컨셉과 돈이라는 가치를 시간으로 치환한 경제적인 개념과 인간사에 대한 고찰까지 많은것을 한번에 표현한 느낌이다.

 

달러를 대신한 시간의 가치

 

달러가 세계에서 기축통화로 알려져 있다는것은 이제 일반적인 상식에 지나지 않는다. 세계 강국으로 가는길은 과학기술이나 군사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 미국이라는 나라가 국제사회에서 발언권이 큰것은 달러라는 기축통화가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이 가지는 세뇨리지 수익은 얼마 되지 않은 돈으로 달러를 찍고 세계의 상품을 사들인다. 그러나 달러가 이제 그 역할이 흔들리고 있다는것은 달러라는 가치가 부를 더이상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는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미국정부에서 발행하는 달러는 채무 발행권에 지나지 않는다. 국채로 민영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은행에 담보로 제공하고 연방준비은행 및 상업은행 시스템을 통해 달러를 발행한다. 즉 달러의 근원은 국채라고 보면 된다. 그러나 국채는 무한정 찍어낼수 있는것이 아니다. 시간이라는 가치는 인간이라면 유한한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화폐화시킨다면 가장 최적의 화폐일지도 모른다.

 

 

인타임에서는 돈으로 거래되는 인간의 수명이 인상적이다. 모든 인간은 25세가 되면 노화를 멈추고 잔여 시간을 1년 제공받는데 그 시간으로 음식을 산다던가 대출금을 갚을수도 있다. 시간이라는것은 유한하고 그 규칙은 지켜져야 하는데 몇 세대에 걸쳐 부자들은 살수도 있지만 가난한 사람들은 하루 하루를 겨우 버티면서 노동으로 대신하면서 살아간다.

 

스타벅스 커피같은것이 한잔에 4분, 버스요금이 2시간, 멋진 스포츠카는 59년의 시간을 그리고 장거리 고급택시는 한 지역을 가는데 한달을 써야 한다. 시간이 화폐가 되면 가장 큰문제가 무엇일까? 화폐의 발행을 누구나 해서는 안되듯이 시간의 유통이 철저히 지켜져야 한다는것이다. 시간이 아무렇지 않게 유통되는 순간 시스템은 붕괴될수 있기 때문에 타임키퍼가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사람이 곧 돈인 사회

 

시간이라는 화폐는 사람몸에 기록이 된다. 물론 휴대형기기같은것이 시간을 저장할수도 있지만 몸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이라는 화폐는 손을 맞잡고 의지만 가진다면 빼앗는것이 어렵지 않기 때문에 살인도 쉽게 일어난다. 시간이 제로로 수렴되는 순간 그 사람의 심장은 멈추기 때문에 차량이나 온갖사고로 죽는 사람보다 깨끗하게 죽는 사람들이 훨씬 많다.

 

 

내가 한턱쏠테니까 마음껏 먹어라는 말은 내 생명같은 시간을 하루쯤 줄께라는 말고 동의어로 취급이 된다. 유한한 시간이 화폐가 되어서 부의 쏠림 현상이 없어질것 같지만 오히려 더 심해진다. , 수천 년을 살 수 있는 헤밀턴이란 남자를 위험에서 구해준 윌은 그에게서 소수의 영생을 위해 다수가 죽어야 하는 현 시스템의 비밀을 듣게되면서 모든일은 꼬이기 시작한다.

 

지금세상과 다를게 없다.

 

현대사회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월급장이들은 한달벌어서 한달을 살아간다. 한달만 일을 안한다고 생계의 문제가 생기지는 않지만 재정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그보다 수입이 더 적은 일일 노동자의 경우 하루 벌어서 하루 먹고 살아간다. 이들의 삶이 시간으로 대체된다면 더 가혹한 현실이 된다. 지금 시대는 시간이 없어서 오래 못사는것이 아니라 돈이 없어서 오래 못사는 세상이다. 시간과 돈이 같은 의미가 된 세상은 가혹의 끝을 보여주고 있다.  

 

아름다운 모습으로 오래사는 세상

 

당신의 전성기는 언제였을까? 아마도 20대 중반이 대체적으로 가장 좋은 모습이라고 생각될듯 하다. 신체적으로도 에너지가 왕성하고 피부도 좋고 두뇌 또한 성숙된 나이가 25살일듯 하다. 위의 사진을 보면 좌측부터 어머니, 부인 그리고 딸이 차례대로 서있다. 누가 위고 아래인지 예측할 수 없는 세상이 이 시대의 삶이다. 윌은 100년의 삶을 기반으로 이들의 삶에 끼어드는데 와이스 금융사의 회장 딸인 실비아(아만다 사이프리드)를 인질로 삼아 탈출하게 된다. 시스템의 비밀이라는것이 지금의 월가의 비도덕적인 시스템과 상당하게 닮아 있다.

 

유한한 시간조차도 인플레를 일으켜서 공평하지 않은 사회로 만들어가는 인타임에서 시간이라는 화폐의 가치조차 무의미해지는것 같다. 어제는 한시간으로 탈수 있었던 버스가 오늘은 두시간으로 100%의 인플레를 보여주고 있다. 당신의 생명같은 삶을 누군가가 시스템을 이용해 단축시키고 있다면 기분이 어떨것 같은가?

 

영화에서 윌과 실비아는 로빈후드같은 존재지만 이들이 선택한 해결방식은 결과적으로 나쁜 결과를 만들 수 밖에 없다. 누군가 돈이 없다고 해서 돈을 무한정 찍어서 혹은 은행돈을 훔쳐다가 주면 해결될 수 있을까? 국가라는 시스템이 존재하고 경제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는 기반은 바로 대다수의 사람들이 규칙을 지키기 때문이다.

 

결과론적으로 볼때 영화의 중반부분에서 살짝 늘어지는 느낌이 있었지만 많은 생각을 하게 해준다. 이들이 선택한 해결방식이 영화에서 어쩔수 없는 선택이라고 보여진다. 모두들이 원하는 해결방식은 그만큼 복잡하고 힘들다. 아이엠 넘버포에서 선량한 역할을 했던 알렉스 페티머의 악역변신도 볼만한 장면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