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을 떠나요(1000)/한국여행(대전)

덕을 밝히던 지역의 회덕의 흔적을 찾는 여름여행

어린왕자같은 식객 2023. 12. 18. 07:01
728x90
반응형

덕이라는 것은 도덕적, 윤리적 이상 실현을 위한 사려 깊고 인간적인 성품을 의미합니다. 인간이라는 말은 동양적 어원에서는 그 자체가 사회성을 가지는 것이며, 이러한 인간의 사회성은 인간이 여러 사회적 관련 속에서 어떤 위치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데요. 그런 덕을 사용한 대전의 지역으로 회덕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회덕향교는 대전이라는 도시에서 만날 수 있는 두 개의 향교중 하나입니다. 향교라는 곳이 예로부터 배움을 할 수 있는 기초교육공간으로 사용되던 곳이었습니다.  

사회를 가족의 확산으로 보는 유학에서 사회윤리는 본질적으로 가족윤리의 확산이기 때문에, 사회윤리에서 대표적인 공적 집단(公的集團)인 국가에 대한 충(忠)도 효에 근거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회덕향교에서는 대전광역시 지원 2023년도 여름 회덕향교 충효교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제 아래로 내려가볼까요. 

이곳이 속한 회덕면이라는 지역은 1963년(대화동, 오정동, 용전동)과 1983년(읍내동, 법동, 중리동, 송촌동, 비래동, 연축동, 신대동, 와동) 두 번에 걸쳐 대전시 편입되게 됩니다. 

회덕이 어떻게 이곳에 있었으며 이곳을 다스렸던 사람들의 이름이 적혀 있는 비와 함께 회덕유래비가 회덕동 행정복지센터 앞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유학사상의 흐름 속에서 덕이라는 개념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인간다운 인격과 그 가능성이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열려 있다는 것을 뜻하며 덕의 실현과 수행이 공자에게는 가장 중요한 학문의 목표가 된 것입니다. 

대덕구에 관심이 있으신분이라면 이곳에서 가까운 곳데 자리한 대덕문화원에서 대덕한 시즌2로 대덕마을기록단을 8월 25일까지 모집하니 참여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골목길의 안쪽으로 들어가면 홍원모 영세불망비각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회덕현 관아를 비롯하여 동헌, 객사, 침벽당, 응향정, 창고, 무기 고등 79칸에 이르는 규모의 관아가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건물의 흔적조차 찾아볼 수가 없지만 불망비는 남아 있습니다.  

홍원모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829년 순조 때 암행어사로 바로 이곳 회덕 지방의 민정을 살피던 중에 기아와 질병에 허덕이던 백성을 구제하고 세금을 감면해 주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시 바깥으로 걸어나가면 회덕에 전해지고 있는 읍내동장승을 볼 수가 있습니다. 두 장승 모두 길쭉한 자연석을 이용한 선돌형으로 몸체에는 아무런 형상이나 호칭이 새겨져 있지는 않습니다.  

대화동에서 읍내동으로 진입하는 옛 작은 다리를 건너면 길 양옆에 장승 2기가 비스듬히 마주보고 있습니다. 마을 바깥쪽에서 바라보면 왼쪽에서 마을 안으로 10미터 가량 들어가 있는 선돌이 여장승이고 오른쪽으로 도로와 인접해 빘는 선돌이 남장승이라고 합니다. 여장승이 있는 이곳으로 남장승을 이전하였다고 하네요. 

 성(性)이란 개념으로 후대의 성리학에 계승되지만, 한편으로는 보통 존재의 세계나 그 근거로 이해되는 천(天)의 개념에 윤리적 성격을 부과하기도 했다는 것을 장승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 회덕이라는 지역은 대전으로 흡수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지만 아직도 그 흔적이 남아서 회덕이라는 지역의 의미를 다시 돌아볼 수 있게 해주고 있습니다.  성인이 하늘과 인간을 감동시켜 태평시대를 이룩할 수 있는 근거는 그의 순일한 덕과 사욕이 없는 마음이라고 최승로가 시무28조에서 표현했던것처럼 대전이라는 지역의 정신적인 근간이 되는 것이 아닐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