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사지라는곳은 매번 이곳 근처를 지나가다가 팻말만으로 만난곳이다. 보령으로 여행오는 사람들은 수없이 많지만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지민이와 손잡고 이곳을 거니는것을 보면서 어떤 할아버지가 무척이나 뿌듯한 얼굴로 쳐다보고 지나간다. 수학과 영어는 가르치더라도 현장에서 역사를 가르치는 부모가 적기 때문일지 모른다.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에 소재한 성주사지의 본래 이름은 백제 법왕때 창건한 오합사가 성주사로 전해지고 있다. 통일신라 시대에 당나라에서 돌아온 남혜화상이 사세를 번창시키니 왕이 성주사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
본래 성주사였지만 성주사지라고 알려지게 된것은 임진왜란때 불에 타서 절터만 남아 있기 때문이다.
공간은 정말 넓은편이다. 지금은 추워졌지만 무르익은 가을의 냄새를 어디서든 만날 수 있다.
절터와 석탑들만이 이곳에 절이 있었다는것을 알려주고 있다.
성주사지 석등은 통일 신라 말기에 세운 석등으로 지붕틀에 비해 등불을 두는 화사석과 받침기둥이 가늘게 만들어졌다. 재료는 화강암이며 파괴되었던것을 근래에 수습하였다고 한다.
성주사지의 상징인 5층 석탑으로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고 네 귀퉁이 끝이 살짝 위로 젖혀져 있다. 통일신라 후기의 전형적인 석탑으로 전체 높이는 635cm라고 한다. 기단부와 옥개석, 탑신석이 완만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다. 2중 기단위에 3층 석탑을 세우는 통일신라 시대의 전형적인 석탑인데 이곳은 2중 기단위에 5층 석탑을 세운것으로 보아 백재와 신라 탑의 양식이 혼합된것으로 보고 있다.
이곳의 석계단은 현대적인 손길이 닿았다고 느껴졌는데 역시나 이곳 석계단은 통일신라때 만들어진 것으로 기존에 있었던 사자상은 1986년 도난당하고 현재것은 사진을 기초로 복원한것이라고 한다.
중앙 절터에서 바라본 통일신라의 석탑 3기이다.
이 석탑은 보령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으로 3기의 석탑중 가운데에 있는 탑으로 삼국통일후에 신라가 만든 2중 기단을 가진 3층 석탑으로 이 석탑은 통일 초기의 거대한것과 달리 조금 작은 형태로 만들어졌다. 재료는반려암이고 사진으로 보다시피 상륜부는 없는 상태이다.
정면에서 서쪽에 위치한 서삼층석탑은 통일신라 말기의 전형적인 3층 석탑의 형태로 화강암으로 만들어져 있고 높이는 443cm이다. 지붕틀에 작은 구멍이 있다고 하는데 이는 불교 행사때 금동판이나 기타 장식품을 매달아 탑의 화려한 모습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그 모습을 만날 수 없었지만 보령 성주사지 남혜화상탑비로 최씨의 시조인 최치원이 왕명에 따라 지은 비석으로 10세기 초에 세워진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비석에는 5,120여 자의 긴 비문이 새겨져 있고 남포오석이 재료인 이 비석은 1천여 년의 풍상을 견디며 고스란히 남아 있어서 최치원의 명문장과 완벽한 보존상태등올 통일 신라 말기의 고승 탑비들 중에서 최고의 비로 인정받고 있다.
성주사지 석불은 얼굴 모양이 친근한 타원형이다. 사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시피 심하게 풍화되어 있어서 원래 모습은 예측하기 힘들다. 고려후기부터 조선 시대 사이에 민불(권위적인 모습을 모두 배제하여 친밀감이 느껴지는 불상) 로 만들어져 있을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과거에는 선종 불교의 큰 중심지 절중에서 가장 큰 절이였던 성주사
선종은 어려운 불경을 모르더라도 수양을 잘하기만 하면 마음속에 불성을 깨달을 수 있다고 하는 불교 종파로 백성의 지지를 상당히 받았던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에 임진왜란을 겪으며 쇠퇴하다가 17세기 말 이후에 폐사되었지만 지금은 사진으로 보다시피 그 터와 많은 유물이 남아 있어서 옛 성주사의 모습을 짐작하게 한다.
'여행을 떠나요(1000) > 한국여행(충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이 살고 있는 드라마 촬영지 수암골 (0) | 2014.01.28 |
---|---|
보령의 가을 흔적 성주산 휴양림 (0) | 2014.01.21 |
보령 여행지의 명물 아찔한 짚트랙 (0) | 2013.12.19 |
보령팬션, 주인장이 너무 친절한 아름드리 팬션 (0) | 2013.12.12 |
칠갑산 그냥 둘러봐도 좋은 여행지 (0) | 201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