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데인저러스 메소드는 프로이트와 융, 슈필라인 이렇게 당대에 유명했던 정신분석학자를 다루고 있다. 프로이트의 경우 세상 모든 인간사 모든 문제의 근원을 성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였으나 프로이트의 영향을 받았으나 무의식세계를 같이 주장하였다. 이 모든 갈등의 중심에는 한 여성이 있다. 이 영화에서 가장 강한 절정은 여성에게서 비롯되었는데 상당히 많은 욕망이나 감정들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그런지 다소 쉽게 다가갈수 있는 영화는 아닌듯 하다.
데인저러스 메소드는 말그대로 훈련되지 않는 정식분석학자가 환자를 치료를 할경우 위험하다는것을 내포하고 있다. 정신분석입문을 읽어본적은 있으나 심리학과 출신도 아닌관계로 그냥 영화평론수준에서 이 영화를 말하기로 한다. 영화속에서 프로이트는 상당히 권위의식이 많으면서 자신의 이론에 대한 견고한 성을 쌓은것 같은 인물로 등장하고 이에 반해 융은 다소 아마추어적이고 위험한 환자치료에 휘말리는 캐릭터로 등장한다.
프로이트 VS 융
영화에서 제대로된 연기를 보여주는것은 바로 키이라 나이틀리가 연기하는 환자의 역할이다. 히스테리컬한 모습에서 무언가 쫓기는듯한 연기는 마치 신이 들린듯한 연기를 보여주고 있는데 마치 별것 없이 지나가는 영화에 나름의 색깔을 부여하고 있다. 프로이트 시대에 프로이트는 가진자의 입장이였고 융은 이에 반에 마이너한 분석학자였다. 그 시대적 상황때문이였을까? 융은 시종일관 프로이트에 밀리는듯한 느낌이 너무 많았다.
자신의 권위에 도전하는 융에게 공격을 하다가 결국 사제의 관계마저 끊어버리고 융을 제대로 배우지도 못한 미숙한 정식분석학자로 몰아세운 프로이트를 보면서 우리시대의 학자들도 정말 보수적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한것과 매우 닮아 있는듯 하다. 꿈과 무의식을 잘 엮은 융의 약진에도 불구하고 프로이트는 자신의 권위를 위협하는것처럼 느낀 나머지 융을 공격하기에 이른다.
융은 슈필라인을 만나게 되면서 자신안에 내재되어 있는 새로운 모습을 만나게 된다. 어린시절의 학대를 통해 성적 만족을 느끼는 슈필라인은 현실에 염증을 느끼고 있던 융에게 새로운 모습을 끄집어낸다. 폭력을 통해 슈필라인이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에 성적인 만족을 느끼고 슈필라인 역시 성적인 만족과 함께 융에게 욕망을 채워주는관계가 된다.
발전하는 정신분석학
프로이트와 융의 만남은 결국 스승을 뛰어넘는 제자가 나오는것처럼 그들의 이론과 학문이 어떤식으로 대결하고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성이 세상의 모든것이면서 인간의 심리적인 문제는 모두 성에 달려있다는 프로이트의 주장과 융의 새로운 모습은 영화를 통해 정신분석학에 조금은 가깝게 다가가게 만드는 재미라고 보여진다.
영화의 주인공은 융과 슈필라인이다. 가학적인 부분과 피학적인 부분의 대표적인 모습이 이들을 통해 투영되는데 이는 성행위자이면서 성적인 만족을 이끌어내고 점점더 구체화되고 있는듯 하다. 성도착증이라는것이 어릴때의 성적인 학대때문에 만들어지기 때문에 위험할 수도 있다.
사람들은 사디즘과 마조히즘을 전혀 다른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둘은 뗄레야 뗄수 없는 관계이다. 영화에서도 마조히스트라고 볼 수 있는 슈필라인도 역시 사디스트로 변해가는것을 볼 수가 있다. 심리적으로 억압된 폭력성이면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정신적인 문제는 크고 작은 문제를 만들기도 한다.
고뇌하는것이 적절한지를 묻는것은 학자들에게 생각하지 말고 이론을 만들라는것과 같다. 영화 데인저러스 메소드는 그다지 재미있는 영화는 아니지만 정신분석을 공부하던가 사람의 정신이라는것에 대해 알고 싶은 사람들이라면 추천할만 하다.
'영화를 보다(1000) > 영화평(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형사, 성유리가 연기하면 안되는 이유 (0) | 2012.06.01 |
---|---|
내 아내의 모든것, 상상만으로 행복한 이혼의 모든것 (0) | 2012.05.15 |
미녀와 야수 3D, 애니메이션의 아련한 꿈같다!! (0) | 2012.04.10 |
알라딘, 우리가 아는 알라딘은 사기꾼이다 (0) | 2012.03.21 |
'맨 온 렛지' 낭떠러지에 서보지 않으면 모르는 긴장감 (0) | 2012.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