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을 떠나요(1000)/한국여행(충청)

논산 연무읍에서 만나보는 견훤과 서재필박사

어린왕자같은 식객 2020. 10. 8. 07:17
728x90
반응형

논산이지만 조금은 다른 색깔을 가진 지역으로 연무와 강경이라는 지역입니다. 무언가 지역의 색깔이 독특하다고 할가요. 그곳에는 견훤왕릉과 서재필 박사의 본거지가 있습니다. 둘 다 멀지 않은 거리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주역이라는 책을 보면 개물성무 화민성속(開物成務 化民成俗)이라는 용어가 등장합니다. 그 의미는 든 사물의 지극한 곳까지 궁구(窮究), 경영하여 일신(日新)하고 또 일신해서 새로운 것으로 백성을 변하게 하여 풍속을 이룬다는 것입니다.

조선 후기에는 실학자인 박제가 같은 사람으로 대표되는 실학사상이 있는데 이것이 조선 말기에 개화라는 것으로 바뀌게 됩니다.  개화사상은 오늘날의 관점에서는 당연한 것으로 들리지만 당시 지배적 사상이었던 위정척사 사상과는 판이한 생각이었다고 합니다.  



개화사상의 선각자들이 1869년 후반에 합류한 후 개화파를 형성하기 시작하는데 이때 김옥균이나 박영효, 유길준, 서재필 등이 합류하게 됩니다. 김옥균 등은 양반 출신은 물론, 중인·평민·군인·승려·상인 등 신분과 계급을 초월해 동지들을 규합하였습니다.

 

 

 

서재필이 갑신정변 때 김옥균의 사상이 조선의 완전 자주독립 국가 실현과 함께 ‘귀족 타파’에 있었다고 회고한 데서도 잘 나타나 있습니다. 

 


초기 개화사상은 이러한 근대적 산업 경제 건설을 ‘회사’ 제도를 도입해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서재필은 갑신정변을 거사한 뒤 그는 정령관(正領官, 지금의 대령급) 겸 병조참판의 자리를 얻었습니다. 그렇지만 갑신정변의 실패로 역적으로 몰려 생각하지 못했던 참담한 고난을 겪었으나 재주 있는 문사(文士), 의식 있는 청년, 모험심이 있는 정객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은 주춧돌만 남아 있는 서재필 박사의 본거지입니다. 개화를 추진했던 사람들은 사회적으로는 양반 신분제도를 폐지해 국민의 자유와 평등을 실현함으로써, 인재를 능력에 따라 뽑아 쓰고 국민의 힘을 민족의 방위와 발전에 효과적으로 동원해, 자유로운 시민사회를 수립하려는 사상이었지만 시기를 만나지 못했던 것입니다. 

이제 견훤왕릉을 만나기 위해 가볼까요.

 

 

본래 이씨였던 견훤은 상주의 호족 아자개의 장잠으로 태어나 통일 신라의 장군이 되었으나 무진주를 점령하면서 후백제를 세우고 세상을 구원할 미륵이라고 자칭했던 사람입니다. 후백제를 세운 견훤은 서기 900 ~ 935년까지 후백제 왕으로 재위하면서 후삼국의 강자로 자리하게 됩니다.

 

덥긴 상당히 더운 날입니다. 조금만 걸어도 땀이 주루룩 흘러내리네요. 

 

문경에서 태어났지만 그의 혼은 삼국을 통일했던 논산 개태사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잠들어 있습니다. 

 

 그는 신라 서남해 지방의 방어를 맡아 공을 세우고 비장(裨將)의 자리에 올랐는데 어릴 때부터 풍모와 기개가 남달랐던 견훤은 장성해 군인이 된 것이라고 합니다. 그렇지만 나라를 세울 생각이 있던 그는 신라에 반감을 가진 사람들을 모아 세력을 형성했습니다. 그를 따르는 사람들은 주로 전라도 지역의 농민들이었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