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보다(1000)/영화평(SF)

'라스트에어벤더' 시리즈를 생각한 안타까운 작품

어린왕자같은 식객 2010. 10. 6. 07:30
728x90
반응형

라스트 에어벤더 물, 불, 흙, 바람을 상징하는 4개의 세계. 서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며 살아가지만 불의 제국이 일으킨 전쟁으로 그 균형은 깨지고, 100년 동안 계속되는 전투로 혼돈은 극에 달한다.

 

이 세상을 구성하는 4 개의 원소 氣 바람 水 물, 土 흙, 火 불
전세계적으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는 TV 애니메이션 ‘아바타-아앙의 전설(Avatar: The Last Airbender)’을 영화화한 <라스트 에어벤더>는 물, 불, 흙, 바람을 상징하는 4개 세계가 이루고 있던 균형이 불의 제국이 일으킨 전쟁으로 파괴되고, 이에 4개 원소를 모두 다룰 줄 아는 유일한 존재이자 최후의 에어벤더인 ‘아앙’이 100년 만에 깨어나 불의 제국에 맞서는 과정을 그린 판타지 액션 영화다.

 

라스트 에어벤더는 M. 나이트 샤말란 감독의 첫 번째 판타지 블록버스터로 새로운 상상력과 강렬한 액션이 살아있는 판타지 3부작의 첫번째 이다. 그런데 두 번째, 세 번째를 진행하기에는 한국에서의 흥행성적은 생각보다 저조하다.

 

개인은 발전한다.

 

영화속에서 주인공 아앙은 에어벤더의 마지막 생존자이자 4가지 원소를 모두 다룰 수 있는 유일한 인물로 등장한다. 흔하디 흔한 모든 SF나 무술 영화의 핵심은 바로 자신의 능력을 잘 모르다가 깨우치면서 전개된다.

 

아앙은 절대자가 되기 위해 4개의 원소를 마스터해가는 여정을 1편부터 3편까지 그리고 있는데 물(水), 불(火), 흙(土), 바람(氣) 중 기본적인 능력으로는 바람을 가지고 있고 이번 편에서는 물을 마스터하면서 악과 대결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이 영화의 특징은 흔히 말하는 장풍같은 액션이 대부분을 차지한다는것이다. 격투액션에 익숙해있는 현대의 관객들로서는 드래곤볼과 같은 장풍액션에 유아틱한 느낌마저 받을수도 있다.

 

라스트에어벤더에서의 아앙의 액션은 상당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는데 10살 때부터 태권도를 연마하고 텍사스에서 태권도 챔피언 타이틀을 거머쥔 그는 캐스팅 당시 삭발한 머리 위에 파란색 화살표 모양까지 그리는 열정으로 오디션에 도전하였다고 한다.

 

팔괘장(에어벤딩), 태극권(워터벤딩), 홍권(어쓰벤딩), 북부소림쿵푸(파이어벤딩) 등 동양 무술을 차용한 원작 액션의 묘미가 그대로 드러나는 시각효과는 볼만하다.

 

불은 악의 축?

 

불은 현대의 산업사회를 상징하기도 하는데 그리스 신화에서도 신의 도구중 하나인 불을 프로메테우스가 훔쳐올 정도로 불은 인간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존재이다.

 

영화에서는 전세계 문화를 아우르는 요소들이 곳곳에 묻어 난다. 신비함으로 대표되는 물의 부족은 이슬람, 인도, 터키의 문화를 참고하였고, 힘을 상징하는 불의 제국은 산업화에 접어들던 시기의 강대국의 이미지를, 하늘에 위치한 바람의 신전은 캄보디아 신전을, 마지막으로 현실적이고 자유로운 이미지의 흙의 왕국은 유목민의 문화를 반영하여 각기 다른 세계의 개성과 특징을 담아내었다고 한다.

 

힘이라는것은 주어질때 그만큼의 책임이 따르는 법이지만 그 힘을 과용할때 사회는 항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과거 로마의 원로원이 한니발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나서 자신의 판단과 능력을 자만했던것처럼 지금도 자만하는 많은 권력자들은 주변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시도는 좋은 영화 

 

 영화는 균형과 힘 그리고 사람이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될 4가지 원소를 효과적으로 잘 그려내고 있다. 그러나 만화를 기반으로 한 아동틱한 스토리나 어린 연기자들의 연기는 성인을 만족시키기에는 조금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특히 영화속의 장면을 보면 반지의 제왕을 연상시키는 불의 제국군사들의 의상과 황금나침판을 연상시키게 하는 빙하로 가득 찬 바다와 같은 장대한 장면이나 신비로운 하늘 위 바람의 사원도 어디선가 본듯한 장면들이다.

 

전체적으로 구성이나 나이 어린 연기자들의 나름의 액션도 볼만했으나 장풍을 남발하는듯한 장면등은 액션이 와닿지 않는 느낌이 강하게 들 수도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