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의 탄생은 기획이 곧 예술이다라는 말만큼 공연에서 기획이 차지하는 역할이 얼마나 지대한지 잘 알려주는 책이다. 책은 모든 공연을 다룰만큼 많은 사례를 담고 있지는 않지만 충분히 예술경영의 세계를 엿볼수 있을정도로 잘 정리된 느낌이 든다.
무대의 탄생에서는 10개의 공연만을 가지고 그들만의 세계를 그려내고 있다. 연극열전, 러프컷, 운동장 오페라, 악극, 라이온 킹, 앙상블 디토, 남한산성, 동춘 서커스, 대장금, 영웅, 더 뮤지컬이 그 주인공인에 이중에서 다섯개 정도는 들어봤고 다섯개는 금시초문이다. 그리고 불행하게도 이중에서 감상한 작품은 하나도 없다는 사실이다.
연극으로 뜬 배우들
연극배우들은 대부분 배가 고픈것이 사실이고 가난한 예술인의 길의 첫 번째도 역시 연극이다. 순수한 연극인들이 돈을 벌었다는 이야기는 거의 없지만 이들이 영화나 TV로 가면서 탄탄한 연기력을 바탕으로 돈을 버는경우는 많다.
설경구를 비롯하여 정만식, 김병옥, 김성균, 주진모, 오정세, 오달수, 윤석화, 김성오, 고인범, 전무송, 윤문식등 수없이 많은 배우들이 채널을 바꾸면서 스타반열에 올라섰다. 이들이 연기력이 바탕이 되지 않았다면 팬들의 사랑을 받는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대전에도 예술의 전당이 있다.
책에서는 공공극장의 재정자립도를 수치화하였는데 서울 예술의 전당이 70%수준이고 지방 문예회관들의 평균 재정자립도는 10~30%수준이라고 한다. 서울 예술의 전당의 재정자립도가 높은 이유는 인건비등의 경상비가 적게 들어가고 주차비나 식음료 등의 부대시설을 통한 임대료등의 수입이 높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주차의 전당이라는 비아냥 섞인 소리를 듣기도 한다고 한다.
이중에 LG아트센터가 2000년 개관 후 성과를 내기시작한것은 이전과는 판이하게 다른 공연장 운영모델을 운영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특정 장르에 한정되지 않으면서도 다양하고 품격 높은 프로그램을 기획해 타 극장과의 차별화를 꾀했다고 한다.
다양한 성공사례들
월드컵의 열기를 그대로 이어받아 대규모로 기획한 국내 오페라 공연사상 최대의 제작비가 투여된 대작 '투란도트는 65억원이 투여되어 수익금 70억원을 거두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성공사례는 진정한 애호인으로 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지만 이어 대규모 오페라인 '아이다'를 추진하였고 40억원의 적자를 내면서 막을 내렸다고 한다. 화려한 실패라고 해야 하나? 한탕주의의 문제라고 보아야 하나.
이외에도 1930~1960년대에 인기를 끌었다가 몰락해버린 후 1990년에 부활하여 10년간 인기를 누린후에 쇠락의 길을 걷고 있는 악극, 세계적인 규모를 자랑하는 일본의 공연기업 시키의 '라이온 킹'의 한국에서의 장기공연, 혁신적인 마케팅이 낳았다는 클래식 한류, 문화예술회관의 시대적 흐름과 특징, 국내 유일의 서커스단 '동춘 서커스', 고궁을 무대로 다시 태어난 대장금, 브로드웨이도 감동시켰다는 영웅까지 다양한 공연사례와 업계의 현실을 만나볼 수 있다.
공연은 연주자나 배우의 무대처럼 보이지만 공연의 전체 색깔과 방향을 결정하는것은 기획자의 몫이라는 크레디아의 정재옥 대표의 말처럼 가격책정에서 부터 영웅의 성공에서 처럼 강렬한 스토리, 보편성, 시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획을 해야 한다.
예술경영 십계명
1. 신뢰자본을 쌓아라
2. 예술경영은 추상화가 아니라 정밀화다
3. 예술경영, 창조 리스크와의 동행
4. 예술경영은 '팀워크'와 '협업'의 두 바퀴로 굴러간다.
5. 예술가와 관객사이에서의 줄타기
6. 시대와 소통하는 통찰력있는 기획
7. 숲과 나무를 동시에 보는 안목 키워야
8. 일상에서 돋보이는 기획
9. 장르와 경계를 넘나드는 상상력 있는 기획
10. 관객과 호흡하는 반발자국 앞선 기획
'제품체험단 및 삶이야기 > 책에 대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려워하지마, 닥치면 다해, 안세연의 직장인추천도서 (0) | 2013.04.04 |
---|---|
미녀 유혹의 비밀, 일루시온의 데이트 코치 (0) | 2013.04.02 |
우리는 어떤의미를 입고 먹고 마시는가, 당신의 생활을 장악한 브랜드 100의 비밀 (0) | 2013.03.15 |
당신이 알던 모든경계가 사라진다, 세상을 사는 새로운 방식 (0) | 2013.03.03 |
가치를 알아야 경제가 보인다, 아이에게 가치를 심는 방법 (0) | 2013.02.01 |